문제 설명
n명의 권투선수가 권투 대회에 참여했고 각각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받았습니다. 권투 경기는 1대1 방식으로 진행이 되고, 만약 A 선수가 B 선수보다 실력이 좋다면 A 선수는 B 선수를 항상 이깁니다. 심판은 주어진 경기 결과를 가지고 선수들의 순위를 매기려 합니다. 하지만 몇몇 경기 결과를 분실하여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없습니다.
선수의 수 n, 경기 결과를 담은 2차원 배열 resul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선수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명 이하입니다.
- 경기 결과는 1개 이상 4,500개 이하입니다.
- results 배열 각 행 [A, B]는 A 선수가 B 선수를 이겼다는 의미입니다.
- 모든 경기 결과에는 모순이 없습니다.
문제 풀이

나를 제외한 모든 선수에 대해 나보다 잘하는 선수, 못하는 선수를 나눌 수 있다면 나의 순위를 정확하게 매길 수 있습니다.
나보다 잘하는 선수의 수를 구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그래프를 만들었습니다.

X번 선수가 Y번 선수를 이기는 경우 위와 같이 표시하였습니다.

N번 선수보다 잘하는 선수의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N번 노드로부터 BFS or DFS를 수행하면 됩니다.
(지는 선수쪽에서 이기는 선수쪽으로 화살표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2번 선수로부터 BFS or DFS 수행한 결과 4개 노드를 순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자기 자신은 빼고, 2번 선수보다 잘하는 선수는 1, 4, 3 총 3개입니다.
마찬가지로 2번 선수보다 못하는 선수의 수를 구하기 위해 역방향 그래프에서 BFS or DFS를 수행합니다.

2번 선수로부터 BFS or DFS 수행한 결과 2개 노드를 순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자기 자신은 빼고, 2번 선수보다 못하는 선수는 5번 총 1개입니다.
선수 5명 중 2번 선수보다 잘하는 선수는 3명, 못하는 선수는 1명입니다.
즉 나를 제외한 모든 선수에 대해 나보다 잘하는 선수, 못하는 선수를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나의 순위를 정확하게 매길 수 있습니다.
(전체 선수의 수 - 1) = (나보다 잘하는 선수의 수) + (나보다 못하는 선수의 수)
전체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때 Graph1은 정방향 그래프, Graph2는 역방향 그래프이며
getUpCnt는 나보다 잘하는 선수의 수, getDownCnt는 나보다 못하는 선수의 수 입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const int MAX = 120;
vector<int> Graph1[MAX];
vector<int> Graph2[MAX];
int bfs(int x, int graphNum) { // x부터 순회
bool visited[MAX] = { false, };
int cnt = 0;
queue<int> myQueue;
myQueue.push(x);
visited[x] = true;
while (!myQueue.empty()) {
int cur = myQueue.front();
myQueue.pop();
cnt++;
if (graphNum == 1) {
for (int i = 0; i < Graph1[cur].size(); i++) {
int next = Graph1[cur][i];
if (visited[next] == false) {
visited[next] = true;
myQueue.push(next);
}
}
}
else if (graphNum == 2) {
for (int i = 0; i < Graph2[cur].size(); i++) {
int next = Graph2[cur][i];
if (visited[next] == false) {
visited[next] = true;
myQueue.push(next);
}
}
}
}
return cnt - 1;
}
int solution(int n, vector<vector<int>> results) {
int answer = 0;
for (int i = 0; i < results.size(); i++) {
int first = results[i][0];
int second = results[i][1];
Graph1[second].push_back(first);
Graph2[first].push_back(second);
}
for (int i = 1; i <= n; i++) {
int getUpCnt = bfs(i, 1);
int getDownCnt = bfs(i, 2);
if (getUpCnt + getDownCnt == n - 1) {
answer++;
}
}
return answer;
}
int main() {
int n = 5;
vector<vector<int>> results = { {4, 3}, {4, 2}, {3, 2}, {1, 2}, {2, 5} };
solution(n, results);
return 0;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백준] 부분수열의 합(14225) (0) | 2021.01.18 |
---|---|
[C++][백준] 궁금한 민호(1507) (0) | 2021.01.18 |
[C++][백준] 트리 순회(1991) (0) | 2021.01.09 |
[C++][백준] ACM Craft(1005) (0) | 2021.01.05 |
[C++][백준] 줄 세우기(2252) (0) | 2021.01.05 |